진행중인 경매

이전 페이지로 다음 페이지로
237

申師任堂

Sin Saimdang

  • 자수 시고 6폭병풍

刺繡 詩稿 六幅屛風

Six-Fold Folding Screen with Needlepoint Draft Poem

견본자수
Needlepoint on Silk

50×30.5㎝

병풍

추정가

  • KRW  400,000 ~ 800,000

응찰현황

* 마감시간 : 01. 25 - 03:55:00(PM)

남은시간

시작가

200,000 KRW

응찰단위

20,000 KRW

낙찰가 (총1회 응찰)

200,000 KRW

작가 소개

본관은 평산(平山)이고, 호는 사임당(師任堂)이다. 사임당은 중국 주나라 문왕의 어머니인 태임(太任)을 본받겠다는 뜻에서 사용된 당호로 임사재(任師齋)라고 칭하기도 했다. 본명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름이 인선(仁善)이라는 설도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역사적 자료는 없다.
아버지는 영월군수(寧越郡守) 신숙권(申叔權)의 아들 신명화(申命和)이고, 어머니는 세조 때의 원종공신(原從功臣) 이유약(李有若)의 손자인 이사온(李思溫)의 외동딸 용인 이씨(龍仁李氏)이다.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낸 이원수(李元秀)와 결혼하여 이선(李璿)·이번(李璠)·이이(李珥)·이우(李瑀)의 네 아들을 두었고, 조대남(趙大男)·윤섭(尹涉)·홍천우(洪天祐)에게 출가한 세 딸을 두었다. 딸들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으며 맏딸이 매창(梅窓)이란 호를 사용한 기록만 남아있다.
신사임당의 삶은 아들인 이이가 기록한 〈선비행장(先妣行狀)〉이라는 글을 통해서 비교적 자세히 전해진다. 그 기록에 따르면 신사임당은 1504년(연산 10) 음력 10월 29일에 외가가 있는 강원도 강릉에서 신명화와 용인 이씨의 다섯 딸 가운데 둘째로 태어났다.
신사임당의 외조부인 이사온은 대사헌·한성부좌윤·형조참판 등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딸 강릉 최씨(江陵崔氏)와 결혼해서 딸 하나만 낳았는데, 그가 신사임당의 어머니인 용인 이씨이다. 외조부 이사온은 결혼한 뒤에 처가로부터 오죽헌(烏竹軒)을 물려받아 강릉 북평촌(北坪村)에 살았으며, 과거에 급제한 뒤에도 관직에 오르지 않았다. 신사임당의 아버지인 신명화도 1516년(중종 11) 식년시에 급제하였으나 관직에 오르지 않았다. 그리고 어머니인 용인 이씨는 신사임당을 낳은 뒤 줄곧 남편과 떨어져 강릉에 머물렀기 때문에 신사임당도 외가인 강릉에서 성장했다.
신사임당은 어려서부터 총명해서 외조부인 이사온의 총애를 받아 그에게 학문과 시(詩)·서(書) 등을 배웠다고 전해진다. 특히 그녀가 그림에 재능을 보이자 외조부 이사온이 안견(安堅)의 그림을 구해다 주기도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이이의 〈선비행장〉에는 신사임당이 7세 때에 안견의 그림을 모방해 산수도(山水圖)를 그렸는데, 그때 이미 매우 절묘한 솜씨를 보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어렸을 때부터 경전(經傳)에 능통하고 글도 잘 짓고 글씨도 잘 썼으며, 바느질과 자수까지 정묘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고 전하고 있다.
신사임당은 시(詩)·서(書)·화(畵)에 모두 뛰어나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예인(藝人)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힌다. 하지만 아들인 이이의 영향으로 그녀가 조선 중기 이후 현모양처(賢母良妻)의 전형으로 여겨지면서 그녀의 글씨와 그림을 상찬하는 유학자들의 글은 많이 전해지지만, 막상 그녀가 직접 쓰고 그린 글씨와 그림으로 확인되는 작품들은 매우 드물다. 그리고 그녀의 영향으로 조선 후기에 풀·벌레를 그린 초충도(草蟲圖)가 크게 유행했다. 그래서 오늘날 그녀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것들은 진작(眞作)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전칭작(傳稱作)들이 대부분이다.
신사임당은 쓴 시는 이이의 〈선비행장〉에 〈유대관령망친정(踰大關嶺望親庭)〉, 〈사친(思親)〉, 〈낙구(落句)〉 세 작품이 수록되어 전해진다. 칠언(七言)과 오언(五言)의 한시(漢詩)인 이 작품들은 모두 부모에 대한 그리움과 걱정을 나타내고 있는데, 격조를 갖추어 그러한 감정을 섬세하게 잘 표현하고 있다.
신사임당이 쓴 것으로 알려진 글씨는 현재 강릉의 오죽헌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신사임당초서병풍(申師任堂草書屛風)〉,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두 폭의 〈산수도〉에 제화(題畵)로 당시(唐詩)의 구절들을 적어놓은 것 등이 전해진다. 특히 종이에 당나라 때의 오언절구 6수를 초서로 쓴 〈신사임당초서병풍〉의 글씨는 짜임이 단정하여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차분한 풍격을 보여준다. 이러한 글씨는 그녀의 아들인 이우와 황기로(黃耆老), 백광훈(白光勳) 등의 서체와 특징을 공유하고 있어서, 일부 학자들은 이들을 ‘사임당서파(師任堂書派)’라고 부르기도 한다.
신사임당의 그림에 관해 이이는 〈선비행장〉에서 “포도를 그렸는데 세상에 시늉을 낼 수 있는 사람이 없다. 그리고 그 그림을 모사(模寫)한 병풍이나 족자가 세상에 많이 전해지고 있다”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송시열(宋時烈)은 〈신사임당묘갈문(申師任堂墓碣文)〉에서 “서화(書畫)에 있어서도 묘경(妙境)에 이르러 이것을 얻은 자는 구슬을 안은 듯이 보배로 여겼다”고 기록하였으며, 어숙권(魚叔權)은 《패관잡기(稗官雜記)》에서 신사임당의 포도그림과 산수화가 안견에 버금간다고 적었다.
오늘날 신사임당의 그림이라고 전해지고 있는 것들은 〈산수도(山水圖)〉, 〈초충도(草蟲圖)〉, 〈묵포도도(墨葡萄圖)〉, 〈노련도(鷺蓮圖)〉, 〈어하도(魚鰕圖)〉 등이 있다. 안견과 중국 명나라 초기의 산수화 유파인 절파(浙派)의 영향이 드러나는 〈산수도〉는 대담하고 간결한 구도로 산수를 묘사하면서도 여성 특유의 섬세한 표현 기법이 동시에 나타난다. 강릉의 오죽헌박물관에 있는 〈신사임당초충도병(申師任堂草蟲圖屛)〉에는 8폭의 초충도가 전해진다. 여기에는 오이와 메뚜기, 접시꽃과 잠자리, 수박과 여치, 가지와 사마귀, 맨드라미와 개구리, 양귀비와 풀거미, 봉숭아와 잠자리, 원추리와 벌이 섬세한 필치와 구도로 그려져 있다. 이 밖에도 조선 후기 이후에 제작된 화첩 등에 신사임당의 것으로 수록되어 있는 그림들이 다수 전해진다.
한편, 신사임당의 맏딸인 이매창(李梅窓)과 넷째아들인 이우도 서화에 능해 명성을 떨쳤다. 현재 강릉의 오죽헌박물관에는 이매창이 그린 〈매화도(梅花圖)〉와 이우가 그린 〈국화도(菊花圖)〉가 함께 화첩으로 만들어져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이매창의 아들로 신사임당의 외손자인 조영(趙嶸)도 서화에 능해서 〈군산이우도(君山二友圖)〉라는 그림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