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검색
- Service
- 작가검색
무호 이한복 無號 李漢福Lee HanBok
1897 ~ 1940
근대
한국화
작가약력
- 1897∼1940. 한국화가.
작가 소개
충청남도 전의(全義) 출생. 호는 무호(無號), 초호는 수재(壽齋)이며, 낙관(落款)에는 이복(李福)이라 쓰기도 하였다. 어려서 조석진(趙錫晋)과 안중식(安中植)에게 전통화법을 배운 뒤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1918년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校) 일본화과에 입학하여 1923년 졸업하였다.
서화협회(書畵協會) 회원으로 1921년 첫 협회전람회부터 줄곧 참가하였고, 1922년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약칭 선전)부터 1929년 8회까지 출품하였다
도쿄미술학교에 유학한 이후인 1920년대 청년작가 시기에는 근대적인 일본화풍과 서양화법에 자극을 받은 현실적 시각 및 정감의 사실적인 채색표현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1930년 무렵부터는 전통적 한국화 취향으로 돌아가 수묵담채의 산수화와 화조화를 온건한 필치로 그렸다. 그 작풍(作風)이 뚜렷한 독자적 경지는 아니었다 해도 당시로서는 새로운 표현감각의 전통화가로 평가되었다. 죽기 직전인 1940년조선미술관(오봉빈 운영)이 서화계 원로와 인사들의 추천 및 논의를 거쳐 선정한 ‘10명가산수풍경화전(十名家山水風景畵展)’을 개최할 때 이한복도 함께 출품하였다.
일찍부터 글씨도 즐겨 오창석체(吳昌碩體)의 전서(篆書)를 잘 썼고, 조선미술전람회에 글씨와 그림을 같이 출품하기도 하였다. 또한 고서화(古書畵)의 감식 안목이 높았다.
1925년 서울 기독교청년회관(YMCA)에 미술과가 설치되어 남녀 연구생을 모집하였을 때에는 동양화부 실기를 맡아 지도하였으며 서울의 휘문(徽文), 보성(普成), 진명(進明) 등 여러 학교에서 미술교사를 역임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의 「노안어해도(蘆雁魚蟹圖)」와 「기명절지도(器皿折枝圖)」등 다수의 작품이 전하고 있다.
서화협회(書畵協會) 회원으로 1921년 첫 협회전람회부터 줄곧 참가하였고, 1922년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약칭 선전)부터 1929년 8회까지 출품하였다
도쿄미술학교에 유학한 이후인 1920년대 청년작가 시기에는 근대적인 일본화풍과 서양화법에 자극을 받은 현실적 시각 및 정감의 사실적인 채색표현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1930년 무렵부터는 전통적 한국화 취향으로 돌아가 수묵담채의 산수화와 화조화를 온건한 필치로 그렸다. 그 작풍(作風)이 뚜렷한 독자적 경지는 아니었다 해도 당시로서는 새로운 표현감각의 전통화가로 평가되었다. 죽기 직전인 1940년조선미술관(오봉빈 운영)이 서화계 원로와 인사들의 추천 및 논의를 거쳐 선정한 ‘10명가산수풍경화전(十名家山水風景畵展)’을 개최할 때 이한복도 함께 출품하였다.
일찍부터 글씨도 즐겨 오창석체(吳昌碩體)의 전서(篆書)를 잘 썼고, 조선미술전람회에 글씨와 그림을 같이 출품하기도 하였다. 또한 고서화(古書畵)의 감식 안목이 높았다.
1925년 서울 기독교청년회관(YMCA)에 미술과가 설치되어 남녀 연구생을 모집하였을 때에는 동양화부 실기를 맡아 지도하였으며 서울의 휘문(徽文), 보성(普成), 진명(進明) 등 여러 학교에서 미술교사를 역임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의 「노안어해도(蘆雁魚蟹圖)」와 「기명절지도(器皿折枝圖)」등 다수의 작품이 전하고 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